캄보디아 대학생 고문 사건, 멈추지 않는 충격
새벽의 전화 한 통이 모든 걸 흔들었습니다.
“캄보디아에서 한국 대학생이 고문을 당해 숨졌답니다.”
짧은 문장이었지만, 그 안에는 한 청년의 마지막이 담겨 있었습니다.
피해자는 경북 예천 출신의 20대 대학생 B씨였습니다.
그는 현지에서 심한 폭행을 당해 걷지 못하고, 호흡 곤란을 호소하다 결국 숨졌습니다.
한때 해외에서 새로운 시작을 꿈꾸던 청년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꿈은 낯선 땅에서 잔혹하게 꺾였습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을 단순 폭행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조직적인 유인과 감금, 폭행이 동시에 이루어진 사건입니다.”
한 수사 관계자의 말이었습니다.
결국 경찰은 대포통장 모집책 일부를 검거했고, 이들이 피해자를 캄보디아로 유인한 정황을 파악했습니다.
전자통신금융거래법 위반 혐의도 함께 적용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드러난 건 한 가지였습니다.
한국인을 노린 해외 범죄의 확산.
그동안 외교적 공백 속에 방치됐던 위험이 현실로 터져버린 것입니다.
결국 경찰청은 “현지 대응 거점을 세워야 한다”며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국제공조 확대, 현지 파견 준비
이후 경찰청은 곧바로 국제 공조에 나섰습니다.
오는 10월 23일 캄보디아 경찰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국내 경찰관을 현지에 직접 파견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현장에서 한국인 피해자 보호, 사건 수사, 정보 수집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
“국제 공조 없이는 이런 범죄를 막을 수 없습니다.”
경찰청 고위 관계자의 단호한 말이었습니다.
새로 설치될 **‘코리안 데스크(Korean Desk)’**는 사건 발생 즉시 현지 경찰과 연결되는 시스템입니다.
피해 신고 접수부터 대사관 협력, 긴급 구조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시간 지연’이 피해를 키운 만큼, 실시간 대응이 핵심입니다.
한편 경찰은 인터폴(Interpol)과의 협력을 확대해 해외 범죄조직의 송금 경로와 인신 유인 네트워크를 추적하고 있습니다.
대포통장을 모집해 피해자를 끌어들이는 방식이 공통적으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 사건은 단순한 개인 비극이 아니라,
한국인 대상 국제 범죄에 대한 첫 본격 대응 사례로 남게 될 전망입니다.
현지 교민 사회도 긴장하고 있습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
프놈펜에 거주 중인 한 교민의 말이었습니다.
그 말 속엔 공포와 체념이 동시에 담겨 있었습니다.
재발방지 강화, 남은 건 실천뿐
국회도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박찬대 의원은 “국가가 자국민을 보호하지 못했다면, 그건 실패입니다”라며 정부의 대응을 질타했습니다.
짧지만 묵직한 발언이었습니다.
정부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재발방지 종합대책을 내놨습니다.
첫째, 해외 불법 취업 알선·유인 광고에 대한 사전 검증 시스템.
둘째, 현지 체류 중 위험 신호가 감지되면 즉시 경찰과 대사관이 공조하는 신고 체계.
셋째, 귀국 후 피해자의 의료·법률·심리 지원을 보장하는 통합 회복 프로그램입니다.
“이젠 말이 아니라 행동이 필요합니다.”
캄보디아에서 활동 중인 한 NGO 관계자의 말이었습니다.
그는 “이미 너무 많은 피해자가 있었지만, 아무도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결국 이번 사건은 한 사람의 죽음으로 끝나선 안 됩니다.
그가 남긴 흔적은 제도를 바꾸는 이유가 되어야 합니다.
한국 경찰은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해 동남아 전역에 코리안 데스크 확대 설치를 검토 중입니다.
범죄의 국경을 넘는 순간, 대응도 함께 넘어가야 한다는 판단입니다.
현재로선 사건의 전말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건 하나입니다.
국가가 늦게라도 손을 내밀기 시작했다는 것.
결국 남은 건 진실, 그리고 실천뿐입니다.